문경의 진산(鎭山)인 주흘산은 ‘우두머리 의연한 산’이란 한자 뜻 그대로 문경새재의 주산이다. 남쪽의 중부 내륙 고속도로나 3번 국도를 타고 진남교반을 지나 마성면 너른 들판에 들어서면 앞쪽으로 기세당당한 산이 하나 버티고 있다. 양쪽 귀를 치켜세우고 조화롭게 균형미를 갖춘 산세이다. 영남(嶺南) 지방이라 할 때 영남이란 충청도와 경상도를 나누는 조령(鳥嶺)을 기준으로 영(嶺)의 남쪽에 있다하여 영남이라 불렀다. 주흘산은 10m 높이의 여궁폭포와, 혜국사, 팔왕폭포, 문경 1,2,3관문 등이 있다. 비구니의 수도 도량인 혜국사는 신라 문성왕 8년 846년 보조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창건시 범흥사라고 하였으나 고려 공민왕이 난을 피해 행재(行在)하여 국은(國恩)을 입어 혜국사로 개칭. 주흘산 등산로 변에 있다. 주흘산과 조령산의 사이로 흐르는 조곡천 동쪽 면에는 주흘관(조령 제 1관문), 조곡관(조령 제 2관문), 조령관(조령 제 3관문)의 세 관문과 원터, 성터 등 문화재가 많으며 주막도 있고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새재계곡은 문경새재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한국의 산하 제공]
▼ 산행 지도(적색: GPS 궤적)
산행코스는 문경 새재 공원 주차장을 들머리로 시작하여 조령 제1관문-여궁 폭포-해국사 입구 다리-안정암 입구-대궐샘-대궐터 능선-전좌문-주흘산(주봉)-주흘산(영봉)-꽅밭 서들-조령 제2관문 안내소-교귀정-조령 원터-조령 제1관문-원점 회귀 순으로, 도상 거리 12.3Km, GPS Logger 궤적거리 18.4Km를 산행하였다.
▼ 문경 새재 공원 주차장
▼ 선비의 상
▼ 새재 박물관
▼ 문경 새재길 새재비
▼ 문경 새재 과거길
▼ 제1관문 주흘관 앞 광장, 왼쪽에 조령산 오른쪽에 주흘산이 조망된다.
▼ 광장 한쪽에는 드라마 공성전 촬영에 사용하던 장비(무기)들이 있다.
▼ 제1관문 주흘관과 관문교
▼ 주흘관 안쪽 현판은 영남 제1문이라고...
▼ 주흘관 앞에 있는 이정표, 주흘산 까지는 4.5Km
▼ 주흘관 앞 타임캡슐 광장
▼ 주흘관을 통과 후 오른쪽 혜국사. 여궁폭포 방향으로 간다.
▼ 널직한 신작로 같은 도로를 따라 여궁폭포 방향으로 간다.
▼ 신길원 현감 충렬사
▼ 많은 산악회 시그널이...
▼ 혜국사. 여궁폭포로 올라가는 곡충골
▼ 혜국사. 여궁폭포 갈림길, 오른쪽 방향으로 여궁폭포를 경유하여 해국사로 올라간다.
▼ 여궁폭포 도착
▼ 여궁폭포, 원래는 파랑소라고 불렸다.
▼ 여궁폭포 위 전망터
▼ 여궁폭포 위 간이 쉼터
▼ 자그마한 철교도 지나고...
▼ 혜국사 앞 다리
▼ 혜국사, 그냥 통과한다.
▼ 안정암 입구, 출입금지 푯말이...
▼ 혜국사에서 주흘산 오름길에는 아름드리 금강송이 시원한 기를 뿜어낸다.
▼ 공민왕이 난을 피해 숨어 있을 때 행궁을 설치했던 대궐터 도착
▼ 대 궐 샘
▼ 대궐터 능선
▼ 대궐터 능선 이정표
▼ 대궐터 능선에서 주흘산 오름길의 나무계단
▼ 대궐터 능선에서 전좌문으로 가는 능선의 조망터
▼ 왼쪽의 지곡리와 오른쪽 문경읍 조망
▼ 주흘관봉(꼬깔봉)을 배경으로 찰~칵
▼ 전좌문으로 가는 데그길
▼ 주흘산 주봉 정상 바로 아래 전좌문 고개
▼ 전 좌 문
▼ 전좌문에서 주흘산 주봉 정상을 올라가는 급경사 나무계단
▼ 주흘산 주봉(해발 1,075m) 도착
주흘산의 최고봉은 1,106m의 영봉이다. 하지만 이곳이 주봉(主峰)이 된 것은 주흘산의 산새가 막 비상하려는 학의 모양인데, 이곳이 학의 머리에 해당하는 곳이라고 하여 높이에 상관 없이 이곳을 주봉으로 삼았다 한다.
▼ 눈사람아저씨 주흘산(주봉) 정상 인증삿
▼ 주흘 관봉(꼬깔봉) 조망
▼ 정상에서 조망 파노라마(클릭)
▼ 정상 주변 풍경
▼ 꽃밭 서들(왼쪽). 주흘산 영봉(직진) 갈림길
▼ 주흘산 영봉(해발 1,106m)
▼ 주흘산(영봉) 인증 삿
▼ 꽃밭 서들. 영봉 갈림길을 뒤돌아 본다.
▼ 꽃밭 서들 내림 능선길 창녀 나무?
▼ 꽃밭 서들로 내려가는 산죽길
▼ 영봉에서 꽃밭 서들 내림길은 가파른 능선을 지나 깊은 계곡으로 내려간다.
▼ 꽃밭 서들, 서들은 너덜의 지방 사투리다.
▼ 꽃밭 서들 옆 작은 소원탑 군
▼ 제2 관문으로 내려가는 조곡골
▼ 계곡에 땀을 씻으며 잠시 휴식
▼ 조곡골 풍경
▼ 제2 관문 앞 제2 안내소
▼ 제2 관문 조곡관 앞 삼거리
▼ 조곡관(문경새재 제2 관문)
▼ 제2 관문 휴게소
▼ 인공 폭포
▼ 문경새재 조령길
▼ 불 됴 심 비
▼ 그 옛날 문경새재를 지나는 길손들이 쌓은 소원성취탑
▼ 문경새재 과거길(옛길)
▼ 꾸구리 바위, 전설에 바위 밑에 송아지를 잡아먹을 정도의 큰 꾸구리가 살았다 한다.
▼ 새재 기도굴, 조선시대 말기에 기독교인들이 박해를 피하여 기도를 하던 곳으로 추정
▼ 팔왕 폭포?
▼ 폭포 옆 너럭바위
▼ 경상감사 교인식 장소인 교귀정
▼ 교귀정 소나무
▼ 용 추 약 수
▼ 새재 주막
▼ 팔왕 휴게소, 색소폰 라이브도 한다고...
▼ 조령 원터
▼ 조령 원터 내부
▼ 조령 원터 외부 돌담
▼ 지름틀 바우, 기름을 짜는 도구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 장 정비된 문경 새재길
▼ 조산(造山),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한 인위적으로 조성한 산
▼ 조령 제1 관문 도착
▼ 조령 제1관문 앞 광장
▼ 산행 출발지 주차장 도착
▼ 산행 고도표(거리별)
▼ 산행 고도표(시간별)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의 척추 공룡능선과 천불동계곡 (0) | 2012.10.04 |
---|---|
누워있는 용의 형상을 닮은 사천 와룡산 (0) | 2012.09.22 |
남도의 철쭉 명산 보성 초암산 (0) | 2012.05.13 |
한국 알피니즘의 요람 북한산(숨은벽) (0) | 2012.04.30 |
스릴 넘치는 암릉 능선 사량도 지리산 (0) | 2012.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