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사진

설악산의 척추 공룡능선과 천불동계곡

    

   

은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 4개의 시, 군에 걸쳐 있다. 한라산, 지리산에 이어 남한에서 3번째로 높은 설악산은 주봉인 대청봉(1,708m)을 비롯하여 700여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은 외설악과 내설악으로 구분한다. 오색지구를 추가하여 남설악을 덧붙이기도 한다. 한계령과 미시령을 경계선으로 동해 쪽은 외설악, 서쪽은 내설악이라 한다. 외설악은 설악산에서 가장 높은 대청봉, 관모산, 천불동 계곡, 울산바위, 권금성, 금강굴, 비룡폭포, 토왕성폭포 등 기암절벽과 큰 폭포들이 있어 사람들의 발길이 잦다. 내설악은 백담계곡, 수렴동계곡, 백운동계곡, 가야동계곡, 와룡, 유달, 쌍폭, 대승 등 폭포, 백담사, 봉정암 등의 사찰들이 있으며 계곡이 아름답고 산세가 빼어나다. 가을이면 대청봉 단풍이 9월 하순부터 물들기 시작한다. 대청 중청 소청봉을 필두로 화채봉 한계령 대승령 공룡능선이 그 다음으로 타오르다 용아장성 전불동계곡으로 내려온 뒤 장수대와 옥녀탕까지 빠른 속도로 붉게 물들인다.이중 공룡능선은 설악단풍산행의 으뜸으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 곳이다. [한국의 산하 제공]

   

     

   ▼ 산행 지도(적색: GPS궤적)

  

는 설악동 매표소를 들머리로 시작하여 신흥사 일주문-와선대 휴게소-비선대-마등령 갈림길 공원지킴터-금강굴 입구-고개-1025봉-마당 바위-샘터-금강문-샘터-마등령-오세암 갈림길-나한봉-나월봉-1275봉-샘터-고개-전망바위-신선대-무너미 고개-양폭 대피소-병풍교-마등령 갈림길-비선대-와선대 휴게소-신흥사 통일 대불-일주문-설악동 매표소 순으로, 도상 거리 19.7 Km, GPS Logger 궤적거리 29.3Km를 산행하였다

  

  

▼ 설악동 매표소

   

   

▼ 와선대 휴게소

  

   

▼ 천불동. 마등령 갈림, 공원 지킴터

     

  

▼ 금강굴 입구 이정표

    

  

▼ 마등령 능선과 만나는 고개 이정표(마등령 2.8m, 비선대 0.7Km)

        

      

▼ 설악과 동해 바다에 아침이 밝아온다.

       

    

▼ 마등령 능선 오름길에서 일출을 만난다

 

  

▼ 숨 가쁘게 마등령을 오르면서 대청봉. 중청봉 조망 

   

   

  

   

   

  

   

   

▼ 1025봉 고개

   

   

▼ 1025봉 고개 이정표(마등령 1.7m, 비선대 1.8Km)

   

   

▼ 마당바위 직전의 전망바위

   

   

▼ 마당바위 입구

    

   

▼ 마당바위 

     

   

▼ 마당바위에서 유선대(왼쪽)와 속초 방향 조망

   

   

▼ 공룡능선 속살 조망

    

   

▼ 대청봉. 나월봉 방향 조망

       

   

▼ 마등령 1Km, 비선대 2.5Km 이정표

 

 

▼ 이정표  샘터

 

  

▼ 마등령 능선에 가을이 오고 있다.

    

   

▼ 고 개

   

   

  

   

   

▼ 저 멀리 바위를 당겨본다.

    

   

▼ 금 강 문, 지도에는 크게 표기되어 있으나 현장에는 안내판이 없다. 

   

   

 ▼ 금강문 앞 119 구조 지점 푯말

   

      

▼ 앞서 가는 부부 일행

    

   

▼ 계단을 오르면서 1275봉 방향 조망

   

   

▼ 사망사고 발생지점 철계단

   

   

▼ 철계단 옆 샘터

   

   

▼ 샘 터

    

   

▼ 마등령 능선의 가을 풍경

   

   

▼ 설악의 단풍은 언제 보아도 색이 곱다.

   

   

  

     

      

▼ 철계단 참에서 공룡능선을 조망하는 일행

   

   

▼ 세존봉(왼쪽), 금강문(가운데), 화채봉(끝선)

   

   

▼ 대청. 중청(끝선), 1275봉(2선11시), 나월봉(2선1시), 나한봉(1선2시)

   

   

▼ 범봉(10시). 1275봉(2시) 줌~인

    

   

▼ 마등령, 안내판에는 마등령 정상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 눈사람아저씨가 도착하자 출발하는 일행 아줌들

    

   

▼ 마등령에서 오세암 갈림길로 내려가는 등산로

   

   

▼ 오세암 갈림길

   

   

▼ 오세암 갈림길을 통과 하면서 뒤돌아 본다.

   

   

▼ 나한봉 능선에서 지나온 마등령 오름길 조망

   

   

▼ 세존봉과 금강문 줌~인, 멀리 달마봉이 조망된다.

   

   

▼ 서북능선과 가야동 계곡 조망

   

    

▼ 가야동 계곡

   

   

▼ 마등령 0.4Km 119 구조지점 푯말

   

   

▼ 나한봉 정상

   

   

▼ 나한봉 아래 예쁜 단풍나무 

    

   

▼ 눈사람과 눈사람아저씨

    

   

  

   

   

▼ 나한봉을 뒤돌아 본다. 

   

   

▼ 나월봉을 배경으로 눈사람 아줌

    

   

▼ 나월봉 직전 로프구간에서 기다리는 일행들...

      

    

▼ 나월봉으로 진행 중 로프구간 

   

   

  

   

   

  

   

   

▼ ㅎㅎㅎ 무엇을 닮았을까?

   

   

▼ 세존봉과 울산바위

     

   

▼ 나월봉 정상

   

   

  

    

   


   

   

▼ 나월봉에서 휴식중인 산객들

   

   

▼ 나월봉 내림길에서 1275봉 조망 

    

   

▼ 1275봉 전위봉과 멀리 달마봉

   

   

▼ 1275봉 전위봉

   

   

▼ 1275봉 줌~인

   

   

▼ 지나온 나한봉 조망

   

   

▼ 나월봉을 뒤돌아 본다.

   

    

▼ 1275봉 전위봉 내림길의 산객들

   

   

▼ 1275봉 전위봉 암군

   

   

▼ 1275봉 오름길 직전의 설악골 상단 이정표

    

   

▼ 지나온 나한봉(가운데), 나월봉(2시)

   

   

▼ 1275봉 오름길 옆 암봉

   

   

▼ 1275봉 정상이 코앞이다.

   

   

 ▼ 1275봉 정상 아래에서 지나온 길을 뒤돌아본다.

   

   

▼ 나월봉(가운데), 나한봉(2시)

   

   

▼ 나한봉(10시), 마등령(1시)

   

   

▼ 1275봉 정상 고개

   

   

▼ 고개에서 휴식 중인 산객들

     

   

▼ 1275봉 정상

      

   

▼ 1275봉에서 신선대로 간다. 

    

   

  

   

   

  

    

  

    

    

    

 ▼ 설악골과 천화대 릿지

 

 

▼ 천화대 릿지의 범봉 줌~인

 

 

▼ 천화대 릿지 줌인

   

  

▼ 멀리 울산바위와 그 앞 토막골위 장군봉 

 

 

 ▼ 설악골에도 가을이 온다.

 

 

 ▼ 잠시 지나온 길을 뒤돌아 본다. 

   

      

▼ 설악골로 내려가는 폐쇄 등산로

 

 

▼ 희운각 2.4Km. 마등령 2.7Km 지점의 샘터

     

    

▼ 샘터, 누군가 친절하게 컵까지 배치해 두었다.

 

 

▼ 1275봉을 뒤돌아 본다.

 

 

▼ 천화대 릿지 상단 암봉

 

 

▼ 신선대(10시) 방향 조망

 

 

▼ 신선대 줌~인

 

 

▼ 신선대로 가는 능선의 바위들

   

   

▼ 신선대로 가는 등산로

 

  

 ▼ 천화대를 뒤돌아 본다.

   

  

▼ 신선대로 가는 중간에 위치한 전망바위

  

 

▼ 전망바위 아래 풍경

   

   

  

    

   

  

  

 

 ▼ 전망바위 위에서 공룡능선 조망 파노라마(클릭)

  

 

▼ 천화대 능선 상단 줌~인

 

 

▼ 천화대 능선 하단 범봉 줌~인

 

 

▼ 천화대 옆 잦은바위골 조망

 

 

▼ 천불동 계곡 위 봉화대 방향 줌~인

 

 

▼ 천불동 계곡 위 칠성봉 방향 줌~인

  

  

▼ 대청. 중청봉 줌~인

 

 

▼ 용아장성 줌~인

 

 

▼ 서북능선 안산 방향 줌인

     

   

▼ 전망바위 아래

 

 

▼ 신선대로 가는 등산길 옆 단풍

  

 

 ▼ 신선대 오름길에서 공룡능선 조망 파노라마(클릭)

 

 

▼ 잦은바위골 용소골 조망

  

   

▼ 울산바위 줌~인

 

 

▼ 장군봉 줌~인, 금강굴이 조망된다.

  

  

▼ 칠형제봉 줌~인

   

   

▼ 천불동 계곡 위 집선봉. 칠성봉 방향

  

  

▼ 서북능선과 그 앞 용아장성 조망 

 

 

▼ 용아장성과 가야동게곡

 

 

▼ 신선대의 신선봉

  

    

▼ 신선봉 아래 이정표

 

 

 ▼ 신선봉 아래에서 용아장성 조망 파노라마(클릭)

   

   

  ▼ 신 선 대 

 

 

▼ 무너미 고개로 가는 등산로

 

 

▼ 공룡능선이 단풍으로 물들었다.

 

 

▼ 무너미 고개 도착

   

   

▼ 무너미 고개에서 천불동 계곡으로 내려간다.

     

   

  

 

 

▼ 무명 폭포

   

    

  

   

    

  

 

 

▼ 천불동 계곡

   

    

  

   

    

  

   

    

  

 

 

▼ 천당 폭포

  

는 천불동계곡의 마지막 폭포로 예전에는 아주 험준하여 일반 관광객은 도저히 접근할 수 없었으나, 지금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속세에서 온갖 고난을 겪다가 이곳에 이르면 마치 천당에 온 것 같다고 하여 천당폭포라 한다.

   

     


  

  

 ▼ 양 폭 포

   

  

    

 

 

▼ 양폭 대피소가 있던 곳

 

 

▼ 양폭 대피소 이정표

 

 

▼ 양폭대피소 뒤편 암봉

   

    

  

   

   

  

     

    

  

   

   

  

   

    

  

   

   

  

   

   

  

   

   

  

 

 

▼ 천불동 계곡

   

    

▼ 진사의 열정이 느껴진다.

   

   

  

   

   

  

   

    

  

 

 

▼ 천불동 계곡

   

   

  

 

 

▼ 천불동 계곡

   

   

  

    

   

▼ 미륵봉(일명 장군봉), 장군봉 중간에 금강굴이 있다.

    

   

▼ 천불동. 마등령 갈림길

    

    

▼ 마등령 갈림 공원 지킴터

   

 

▼ 비 선 대

   

 

▼  비선대에서 장군봉(왼쪽). 형제봉(가운대). 선녀봉(오른쪽, 일명 적벽) 조망

   

   

  

 

 

▼ 비선대의 "마고"가 누워있던 바위

 

 

▼ 비선대 휴게소

 

 

▼ 휴게소 아래 다리에서 올려다본 비선대 풍경

  

 

▼ 설 원 교

 

 

▼ 금 강 교

 

 

▼ 신흥사 통일대불

  

 

▼ 신흥사 일주문

   

   

▼ 설악동 소공원의 금강 소나무 표본

   

   

▼ 권금성을 오르내리는 케이블카

   

   

▼ 설악동 매표소

  

   

   

   

  

  

  

▼ 산행 고도표(거리별)

    

  

▼ 산행 고도표(시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