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는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798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 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바위와 상사바위, 기차바위 등의 빼어난 암벽과 부드러운 억새 능선길, 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품고 있어 여름 산행지로 적격이다. 정상인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 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와룡사, 백천사, 백룡사 등 암자와 절이 있다. [한국의 산하 제공]
▼ 산행 지도(적색: GPS 궤적)
산행코스는 용두공원 주차장을 들머리로 시작하여 용강 정수장 옆 이정표-방공호. 동굴-용두봉-행글라이더 활공장-장고개-철탑-묵묘 봉우리-거북 바위-와룡마을 갈림-사자 바위-무명봉-기차바위 능선-청룡사 갈림-681봉-민재봉-헬기장-수정굴 갈림-와룡산 정상(새섬봉)-돌탑-너덜경-나무 계단-돌탑-도암재-납골당-와룡 마을-와룡 저수지 순으로, 도상 거리 11.2 Km, GPS Logger 궤적거리 13.9Km를 산행하였다.
▼ 용두공원 주차장
▼ 아름다운 나무다리, 용두공원에는 이런 다리가 3개가 있다.
▼ 사천시에서 공원을 예쁘게 만들어 놓았다.
▼ 이 꽃은 돌아가신 어머니가 엄청 좋아하시던 꽃이다.
▼ 용두 공원에서 용두봉 초입지로 가기 위해 용강 정수장 방향으로 간다.
▼ 용두봉 들머리 이정표
▼ 이정표 오른쪽에는 용강 정수장이 있는데... 가동이 중지된 것 같다.
▼ 방공호와 동굴, 동굴은 반대쪽과 관통되어 있다고 한다.
▼ 용두공원에서 올라오는 길을 안내하는 이정표
▼ 추석이 며칠 안 남아서 묘소들은 단정하게 벌초가 되어있다.
▼ 용두봉 직전 헬기장
▼ 용두봉 정상, 이곳이 용의 머리...
▼ 용두봉을 내려오면서 천왕봉(상사바위) 새섬봉을 조망
▼ 삼천포 화력발전소 방향 조망
▼ 산행 등로 옆에 임도가 나란히 간다.
▼ 행글라이더? 페어글라이더 활공장
▼ 와룡산 상사바위(천왕봉). 새섬봉과 어우러진 고압선 접근금지 안내판
▼ 활공장에서 삼천포 시가지 조망
▼ 장 고 개
▼ 민재봉 5.2Km. 용두마을 1.3Km 장고개 이정표와 효자동 문중 합동묘지
▼ 묵묘 봉우리. 거북바위로 올라가는 나무계단
▼ 등산로 주변에는 묘소가 많다. 명당인가 보다.
▼ 154(154,000 볼트) 특별고압 철탑
▼ 산행 중 많은 알밤을 주웠다. 이번 추석에...
▼ 묵묘 봉우리 오름길 바위 전망터
▼ 전망터에서 상사바위. 새섬봉 조망
▼ 삼천포 시가지 조망 파노라마(클릭)
▼ 묵묘 봉우리(446봉)
▼ 거북 바위 도착
▼ 거북 바위 위에서 와룡산을 조망에 흠뻑 빠진 눈사람아저씨
▼ 거북 바위에서 봉현 저수지. 무이산 방향 조망
▼ 멀리 사량도가 희미하게 조망된다.
▼ 와룡 저수지. 용두봉 방향 조망 파노라마(클릭)
▼ 상사 바위. 와룡산 정상(새섬봉) 조망
▼ 와룡산 정상(새섬봉). 민재봉 조망
▼ 거북 바위 위에서 눈사람아저씨 찰~칵~
▼ 사자바위. 형제바위 그 앞 대포산 조망
▼ 와룡저수지. 상사바위. 새섬봉 조망 파노라마(클릭)
▼ 수정굴 줌~인
▼ 지나온 거북 바위를 뒤돌아 본다.
▼ 왼쪽 부터 민재봉. 681봉. 기차바위
▼ 기차 바위. 사자바위 조망
▼ 사자 비위(왼쪽). 형제 바위(오른쪽) 조망
▼ 사자바위 줌~인
▼ 형제 바위 줌~인
▼ 와룡산 정산 새섬봉(왼쪽). 민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 청룡사 줌~인
▼ 와룡마을 갈림 이정표
▼ 사자 바위 도착
▼ 사자 바위를 지나면서 뒤돌아 본다.
▼ 사자 바위 정상
▼ 무 명 봉
▼ 무명봉에서 형제 바위 줌~인
▼ 기차바위 능선 조망
▼ 기차 바위 능선
▼ 기차 바위 능선에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본다.
▼ 기차 바위 능선의 구조지점 푯말
▼ 기차 바위 능선에서 사량도 조망
▼ 기차 바위에서 민재봉. 그 앞 681봉 조망
▼ 기차 바위 이정표
▼ 청룡사 갈림 이정표
▼ 이정표를 뒤돌아 본다.
▼ 하늘과 맞닿은 민재봉에 먼저 도착한 일행이 나를 반긴다.
▼ 민재봉 정상(해발 799m) 도착
▼ 정상 인증삿
▼ 민재봉 정상 이정표
▼ 그림이 좋습니다.
▼ 그림이 안 좋습니다.
▼ 민재봉에서 681봉. 기차바위 능선. 사자바위 조망
▼ 와룡 마을. 와룡저수지 방향 조망
▼ 상사바위. 와룡산(새섬봉) 방향 조망
▼ 민재봉에서 와룡산(새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조망
▼ 681봉~기차바위~사자바위~상사바위~새섬봉 조망 파노라마(클릭)
▼ 봉대산. 하늘먼당 방향 조망 파노라마(클릭)
▼ 민재봉 출발 와룡산(새섬봉)으로 간다.
▼ 민재봉 아래 헬기장
▼ 헬기장에서 민재봉을 뒤돌아 본다.
▼ 헬기장에서 와룡산(새섬봉)으로 간다.
▼ 수정굴 갈림 이정표
▼ 수정굴 갈림 이정표를 지나오면서 뒤돌아 본다.
▼ 와룡산(새섬봉) 오름 길에서 민재봉 조망
▼ 와룡산 정상(새섬봉)이 가까워 진다.
▼ 앞서간 일행 부부가 와룡산 정상(새섬봉)에서 멋진 포즈~
▼ 와룡산(새섬봉) 이정표(도암재 1Km. 민재봉 1.6Km), 북바위 능선 조망
▼ 와룡산 정상(새섬봉)
▼ 와룡산 정상 새섬봉(해발 801.4m) 도착
새섬봉은 옛날 심한 해일로 바닷물이 이 산을 잠기게 하였으나 이 산 꼭대기에 있는 바위만은 물에 잠기지 않아서 그 곳에 새 한 마리가 앉아 죽음을 면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아직도 민재봉(해발 799m)이 최고봉으로 표시된 지도나 블로그 글들이 많지만 2010년에 국립지리원이 해발고도를 정정하여 새섬봉(801.4m)이 와룡산의 정상으로 하였다.
▼ 와룡산(새섬봉) 인증삿
▼ 와룡산(새섬봉)에서 지나온 능선 조망
▼ 지나온 능선 조망 파노라마(클릭)
▼ 와룡산(새섬봉) 능선을 배경으로 눈사람아저씨 찰~칵
▼ 와룡산(새섬봉) 암릉 능선
▼ 북바위 능선과 사천대교 방향 조망
▼ 와룡산(새섬봉) 암릉 능선
▼ 이 나무는 어려운 환경에 태어나서 찡기고 밟히고... 모진 삶을 살아간다.
▼ 로프 구간
▼ 와룡산(새섬봉) 암릉 능선
▼ 와룡산(새섬봉) 능선 로프 구간
▼ 와룡산 정상 새섬봉(왼쪽). 민재봉(오른쪽)
▼ 와룡산에 또 하나의 소원을 보탠다.
▼ 와룡산(새섬봉) 중턱의 작은 돌탑군
▼ 와룡산(새섬봉) 능선에서 건너편 능선 조망이 좋은 전망바위
▼ 와룡산(새섬봉) 내림길 너덜 경
▼ 와룡산(새섬봉) 내림 길 나무계단
▼ 나무계단 참에서 천왕봉(상사바위) 조망
상사바위는 와룡산 중턱에 있는 높이 60m쯤 되는 바위인데 중앙부에 지름 1.8m의 굴이 있어 굴 속에는 부엉이가 살고 있어 굴 바위라 했으며, 상사병에 걸린 사람을 이곳에서 떠밀어 죽였다 하여 상사바위라 불렀다.
▼ 돌 탑
▼ 톨탑을 지나 급경사를 내려온 지점의 도암재 수정굴 갈림 이정표
▼ 도암재 이정표, 일행은 와룡골로 내려간다.
▼ 조금 전 수정굴 갈림 이정표가 있던 곳을 뒤돌아 본다.
도암재에서 와룡골로 하산하여 납골당. 와룡 마을을 지나서 와룡 저수지에서 오늘의 산행을 종료하고,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용두공원까지 노선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
▼ 용두 공원 도착
▼ 산행 고도표(거리별)
▼ 산행 고도표(시간별)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설악 흘림골과 주전골 단풍산행 (0) | 2012.10.16 |
---|---|
설악산의 척추 공룡능선과 천불동계곡 (0) | 2012.10.04 |
문경의 진산, 새재의 주산 주흘산 (0) | 2012.06.06 |
남도의 철쭉 명산 보성 초암산 (0) | 2012.05.13 |
한국 알피니즘의 요람 북한산(숨은벽) (0) | 201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