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사진

천자의 면류관 장흥 천관산

  

  

은 다양한 모양으로 솟아 있는 기암괴석이 마치 주옥으로 장식된 천자의 면류관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관산읍과 대덕읍 경계에 있는 723m의 산으로 높지는 않지만 온 산이 바위로 어우러져 봉우리마다 하늘을 찌를 듯 솟아있어 웅장함을 더한다. 산을 오르면 남해안 다도해가 한 폭의 동양화처럼 펼쳐지고 계절마다 다양한 아름다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가을에는 드넓은 억새 밭이 아름답다.

  

  

▼ 천관산 산경도


  

  

▼ GPS 산행 족적

  

  

▼ 천관산 도립공원 탐방안내소와 꽃자리


  

  

 호남제일 지제영산(湖南第一 支提靈山) 표지석


  

  

 도화교 건너 장천재(長川齋)

  

천문과 지리에 밝았던 존재 위백규(1727~1798)가 제자를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곳으로 고려 공민왕 21(1372)에 처음 지어졌으나, 많이 파손되어 조선 고종 때(1870년경) 다시 지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체육공원 동백나무 군락지


  

  

 금수골 계곡을 건너는 목교


  

  

 선인봉으로 올라가는 등산로


  

  

 선인봉 오름길 능선 처음으로 조망이 열리는 바위


  

  

 능선의 바위

  

  

 선인봉 오름길 조망 바위


  

  

 조망바위 위에 일행 둘이서 조망을 즐기고 있다.


  

  

 선인봉을 지난 인근의 바위

  

  

   


  

  

 선인봉을 지나면서 뒤돌아 본다.


  

  

 지나온 선인봉


  

  

 환희대로 올라가는 능선의 기암들


  

  

 석선봉(왼쪽). 지장봉(오른쪽)

  

  

 천관사 내림길 능선


  

  

 금 강 굴(金 剛 窟)

  

종봉(鐘奉)의 동쪽 의 지변(地邊) 명적암(明寂庵) 아래 있는데 굴의 크기가 대청방 만하며 그 앞에 암자가 있어 서굴(西窟)이라고 한다.

  

  

 금강굴 입구


  

  

  


  

  

 종봉 위에서 건너편 금수굴능선 조망


  

  

  


  

  

 종봉 상부


  

  

 대세봉(왼쪽). 진죽봉(오른쪽)


  

  

 석선봉(왼쪽). 지장봉(오른쪽)


  

  

  


  

  

▼ 석 선(石 船)

  

진죽봉 이래에 있으며 큰 돌이 배 같아 뱃전밖에 돌 가락이 있어 사람의 팔뚝 만한데 그 끝이 나누어져 다섯 손가락이 되었고 엄지 손가락은 길지만 가운데는 적고 차례로 펴지어 구부러져서 자세히 보면 괴상스럽다. 불설에 서축 사공이 돌아감을 고(告)하고 그 한 팔을 잘라 관음보살께 시주하고 후세의 신포로 삼겠다고 하니 관음보살이 뱃전에 붙여주라고 명(命)하였다 한다.

  

  

▼ 뒤돌아본 종봉


  

  

  


  

  

▼ 멀리 천관산 정상 연대봉 조망


  

  

▼ 건너편 금수굴 능선


  

  

▼ 보 현 봉


  

  

▼ 대 세 봉(大 勢 峯)

  

관음봉의 위쪽에 있으며 가장 높은 봉우리다. 큰 벽이 기둥처럼 서서 하늘을 찌르니 노기에 늠연(凜然)하여 가히 우러러 보지 못하며 나는 새도 능히 오르지 못한다. 산동인(山東人)이 문장봉(文章峯) 이라고도 부른다.

  

  

  

  

  

 대 세 봉


  

  

  


  

  

  


  

  

  


  

  

   


  

  

 당번. 천주봉(䃥幡. 天主峯)

  

천주(天主)를 깎아 기둥으로 만들어 구름 속으로 꽂아 세운 것 같다. 불가(佛家)에서는 깃발을 달아 놓은 보찰(寶刹)이라고 한다. 산동(山東) 사람들이 금관봉(金冠峯) 이라고 부른다.

  

  

  


  

  

  

  

  

 대장봉 환희대 도착


  

  

 환희대(歡喜臺)

  

책 바위가 네모나게 깍아져 서로 겹쳐 있어서 만권의 책이 쌓여진 것 같다는 대장봉(大臓峰) 정상에 있는 평평한 석대(石臺)이니 이 산에 오르는 사람은 누구나 이곳에서 성취감과 기쁨을 맛보게 되리라! 하여 환희대라 한다.

  

  

 환희대에서 천관사능선 방향 조망


  

  

 금수굴 능선 방향 조망

  

  

 천관산 정상 연대봉 방향 주능선


  

  

 구룡봉 방향 능선  


  

  

 천관산 정상 연대봉으로 간다.  

  

  

 뒤돌아본 대장봉. 환희봉 방향


  

  

 천관사 능선 진죽봉. 지장봉


  

  

 구룡봉. 대장봉. 천관사능선 조망 파노라마


  

  

 대장봉에서 연대봉으로 가는 능선의 쉼터


  

  

 쉼터 맞은편 헬기장


  

  

 연대봉으로 가는 억새 능선길


  

  

 천관산 정상 연대봉


  

  

 천관산 정상석


  

  

 눈사람아저씨 정상 인증삿

  

  

 천관산 연대봉 봉수대

  

은 천관산의 가장 높은 봉이다. 고려 의종왕(서기 1160년대)때 봉화대를 설치하여 통신수단으로 이용하였고 이후부터 봉수봉(烽燧峯) 또는 연대봉(煙臺峯)이라 불렀다.

  

  

 봉수대에서 환희대 방향 조망


  

  

 천관사 능선과 그 뒤로 부용산


  

  

 금수굴능선과 그 뒤 선인봉 능선


  

  

  금수굴능선과 그뒤 선인봉 탄금바위


  

  

 정원석. 봉황봉. 양근암을 거쳐 장천재로 내려가는 능선

  

  

 장천재로 내려가는 능선 줌~인


  

  

 연대봉에서 외동리로 내려가는 능선

  

  

  금수굴 능선과 봉황봉 능선 가운데 능선


  

  

  


  

  

 봉황봉 내림길 능선의 돌탑


  

  

  금수굴 능선과 그 뒤 선인봉 능선 줌~인


  

  

 장천재 내림길 능선의 바위


  

  

 벙커에 대포를 거치하여 놓은 것 같은 바위


  

  

  


  

  

▼ 장천재 내림길 능선의 봉황봉


  

  

 정 원 암(庭 園 岩)

  

사모봉(沙帽峯) 동쪽 삼십 보 거리에 있어 흡사(恰似) 정원석(庭園石)을 방불케 하는 경 관을 이루고 있다.

  

  

 봉황봉 정상 기암


  

  

  


  

  

 양 근 암(陽 根 岩)


  

  

  


  

  

 두부 한 모 썰어 놓은듯한 바위


  

  

▼ 주양봉과 그아래 암군


  

  

▼ 봉황봉을 뒤돌아 본다.


  

  

  


  

  

  


  

  

  


  

  

  


  

  

  


  

  

  


  

  

  


  

  

  


  

  

  


  

  

  


  

  

  


  

  

 문 바 위


  

  

 문바위를 뒤돌아 본다.


  

  

 장안사 입구를 지나 천관사 주차장에서 산행을 종료한다.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 순창 회문산  (0) 2019.01.25
양산의 3대 명산 천태산  (0) 2018.05.06
진해 천자봉.시루봉  (0) 2018.03.31
북덕유산 눈산행  (0) 2018.01.18
도봉산 포대능선의 가을  (0) 2017.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