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뿔바위봉은 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국립공원 중심부인 부안호 북동쪽 하서면과 상서면의 경계지에 위치한다.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내륙은 첩첩 산중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고봉인 의상봉의 높이가 해발 509m에 불과하지만 400m급 준봉들이 겹겹이 이어진다. 내륙 쪽 변산반도를 가리키는 내변산의 명소로는 최고봉인 의상봉(509m)을 비롯해 쌍선봉(459m), 옥녀봉, 관음봉(433m), 선인봉 등 기암 봉들이 여럿 솟아있고, 직소폭포, 분옥담, 선녀당, 가마소, 와룡소, 내소사, 개암사, 우금산성, 울금바위 등이 있다. 의상봉(509m)은 변산의 최고봉으로서 마천대라고도 하며, 신라 고승인 의상대사가 이곳에 절을 세워 의상사라 했기에 의상봉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 의상봉 동남편 절벽에는 진표율사가 수도했다고 전하는 불사의방이 있다. 변산은 산과 계곡, 해변이 모두 절경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빼어난 변산팔경과 36경 (내변 12경, 외변 12경, 해변 12경)의 명소가 있다. 팔경 중 으뜸은 직소폭포이고, 내변12경중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제1경은 쇠뿔바위봉이다. 쇠뿔바위는 쇠뿔바위봉(475m) 남쪽에서 동쇠뿔바위(420m)와 서쇠뿔바위(430m)로 갈라지는데 외변 12경 하나인 울금바위와 더불어 백미를 이루는 암봉이다. 두 개의 봉으로 형성되어있으며 멀리서 보면 마치 소의 뿔처럼 보인다. 동봉은 서울의 인수봉과 흡사하며 세미클라이밍을 하여야만 오를 수 있는 암봉이며, 서봉 또한 약 50m의 칼날 암릉을 통과해야 하며 북면만 빼고 삼면이 수십길 단애를 이루고 있으며 서봉 정상에 서면 사방으로 전개되는 파노라마가 일품이다. 동쪽으로는 우람하고 멋진 동봉이 보이고 그 왼쪽으로는 우슬재가 실낱같이 보인다. 지장봉, 투구봉, 사두봉, 서운봉이 보석처럼 솟아있고 그 능선 너머로 쌍선봉, 낙조대, 신선봉등 외변산의 산릉이 파노라마처럼 너울댄다. 쇠뿔바위봉은 1988년 국립공원 지정 직후 탐방로가 폐쇄되었다가 2011년 5월부터 해제 되었다
▼ 쇠뿔바위봉(우각봉) 산경도
▼ 산행 지도(적색: GPS 궤적)
산행코스는 가락골 입구를 들머리로 시작하여 가락소류지-폐 우사-156봉 능선만남-옥녀봉-삼거리-비룡상천봉 갈림-445봉-반석-와우봉-우각봉(쇠뿔바위봉)-고래등바위-동쇠뿔바위봉-이정표-서쇠뿔바위봉-밀양 손씨 묘소-동초재-255봉-지장봉-새재-탐방로안내판-청림모정-정림마을 순으로, 도상 거리 8.2Km, GPS Logger 궤적거리 9.45Km를 산행하였다.
▼ 가락골 입구에서 30번국도와 705번지방도 갈림 이정표를 돌아 본다.
▼ 가락골 입구에서 농로를 따라 산행을 진행한다.
▼ 마을 어귀 도로변에 화초 양기비꽃이 피어있다.
▼ 도로변 오른쪽에 큰 백일홍 나무가 건장함을 뽐낸다.
▼ 가락골 소류지
▼ 가락소류지를 통과하면서 뒤를 돌아본다.
당초 산행 계획은 가락골 소류지를 지나면 곧바로 왼쪽 156봉. 지석묘 방향 능선으로 진행하기로 계획 되었는데... 선두가 농로를 따라 직진을 한다. 소류지에서 350m 정도 거리에 폐우사가 나타나면서 곧바로 등로가 희미하게 되자 지형을 가름하여 개척산행 비슷하게 전진을 한다. 오름길 개척산행을 300m 가량 올라오니 조그마한 등산로가 나타난다. 몇몇 사람은 뒤돌아 갔다.
▼ 폐 우사에서 300m 지난 지점 등산로 만남
▼ 등산로는 조금만 지나면 제법 넓고 편안한 길이 된다.
▼ 산행 선두가 156봉에서 올라오는 능선을 만나면서 후미를 기다리고 있다.
▼ 옥녀봉으로 올라가는 능선길
▼ 옥녀봉으로 가는 능선길에서 하서면 용와마을 방향 조망
▼ 옥녀봉 정상을 살짝 우회하여 옥녀봉에서 내려오는 길과 만난다.
▼ 와우봉으로 가는 능선길에서 멀리 변산의 주봉인 의상봉이 조망된다.
▼ 능선 왼쪽으로는 우금산과 우뚝 솟은 울금바위가 조망된다.
▼ 비룡상천봉과 440봉 갈림길 삼거리
▼ 앗! 옥녀봉 탐방로에 출입금지 금줄이 설치되어있다.
▼ 금줄을 넘어온 비룡상천봉 갈림길
▼ 지도상으로는 445봉인데 오래된 표석 하나가 딸랑 자리잡고 있다.
▼ 능선에 반석같은 바위
▼ 와우봉을 지나왔다. 뒤돌아보니 와우봉 정상에는 아무것도 없다.
▼ 우각봉(쇠뿔바위봉)으로 가는 능선길
▼ 우각봉(쇠뿔바위봉) 도착, 의상봉(오른쪽) 갈림길 지점이다.
▼ 우각봉에서 어수대. 우금산 방향 조망
▼ 멀리 우금산과 동쪽 쇠뿔바위 방향
▼ 동쪽 쇠뿔바위와 고래등바위 방향, 날씨가 맑으면 선운산도 조망된다.
▼ 고래등바위 위에서 서쪽 쇠뿔바위봉 조망
▼ 눈사람아저씨 고래등바위 위에서 동쪽 쇠뿔바위봉을 배경으로 인증삿
▼ 고래등바위와 우각산(쇠뿔바위봉) 정상
▼ 와우산 아래와 병풍바위와 우슬재 방향
▼ 고래등바위와 동쪽 쇠뿔바위봉 사이 계곡
▼ 동쪽 쇠뿔바위 줌~인
▼ 서쪽 쇠뿔바위봉으로 가는 능선길, 출입금지 금줄을 넘어야만 갈 수 있다.
▼ 서쪽 쇠뿔바위로 가는 능선
▼ 서쪽 쇠뿔바위봉에서 소의 무릎고개란 뜻의 우슬재 방향 조망
▼ 고래등바위와 동쪽 쇠뿔바위봉
▼ 동쪽 쇠뿔바위봉을 맨손으로 오르는 일행들
▼ 서쪽 쇠뿔바위봉에서 투구봉. 사두봉 방향 조망
▼ 지장봉. 의상봉 방향 조망
▼ 서쪽 쇠뿔바위봉에서 남쪽방향 조망 파노라마(클릭)
▼ 투구봉. 사두봉 방향 줌~인
▼ 지장봉 방향 줌~인
▼ 변산 국립공원의 주봉인 의상봉(해발 508.6m) 줌~인
의상봉(509m)은 변산의 최고봉으로서 마천대라고도 하며, 신라 고승인 의상대사가 이곳에 절을 세워 의상사라 했기에 의상봉이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 의상봉 동남편 절벽에는 진표율사가 수도했다고 전하는 불사의방이 있다.
▼ 서쪽 쇠뿔바위봉에서 능선을 돌아 나오면서 우각봉 조망
▼ 서쪽 쇠뿔바위로에서 돌아 나오는데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이 다른 바위가 능선을 지키고 있다.
▼ 의정표 고개에서 지장봉으로 내려가는 급 하강 내림길
▼ 우각봉 내림길에서 지장봉 조망
▼ 지장봉 줌~인
▼ 등산로 오른쪽의 밀양 손씨 묘소
▼ 동초재 도착, 변산국립공원은 탐방로 안내시설이 전혀 없다.
▼ 지장봉으로 가는 바위 탐방로길
▼ 255봉 정상, 역시 아무것도 없다.
▼ 255봉을 지나면서 뒤돌아 본다.
▼ 지장봉 우회로(왼쪽) 갈림길, 지장봉(직진)은 장비 없이는 올라가기가 어렵다.
▼ 지장봉 아래 조망터에서 올려다 본다.
▼ 지장봉 동쪽 벽에 거북이가 올라가고 있다.
▼ 동측 바위모양이 거북이로 보이면 현명한 사람이고, 독수리로 보이면 용감한 사람이랍니다.
▼ 지장봉에서 쇠뿔바위봉 조망
▼ 쇠뿔바위봉 줌~인, 아무리 보아도 쇠뿔을 닮지는 않은 것 같다.
▼ 지장봉에서 청림마을 방향 조망
▼ 투구봉. 사두봉 방향 조망
▼ 의상봉 아래 뱀사골. 부안호 방향 조망
▼ 지장봉 아래에서 디카 놀이하는 일행들
▼ 우리들 산행을 이끌어 주시는 산행 대장님
▼ 새재 도착, 이곳에서 청림마을(왼쪽)로 진행한다.
▼ 청림마을 내림길의 탐방로 안내시설
▼ 청림마을에서 조망한 쇠뿔바위봉
▼ 쇠뿔바위봉 줌~인, 와~ 이제야 쇠뿔 모양으로 제대로 보입니다.
▼ 청림마을에서 의상봉과 지장봉 조망
▼ 청림 모정
▼ 청림 모정 내부
▼ 청림마을 입구 표석
▼ 산행 고도표(거리별)
▼ 산행 고도표(시간별)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산청을 감싸고 있는 곰바위산 웅석봉 (0) | 2014.08.07 |
---|---|
지리산 주능선 최고의 전망대 삼신봉 (0) | 2014.06.20 |
문경의 숨은 진주 부봉 (0) | 2014.05.26 |
한반도 최남단 해남반도의 두륜산 (0) | 2014.04.07 |
소백산 칼바람 능선의 하얀 겨울 (0) | 201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