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사진

초록이 꽃보다 아름다운 운문산

  

    

영남지방에 해발 1000m가 넘는 운문산, 고헌산, 가지산, 천황산, 간월산, 신불산, 취서산, 문복산 등의 준봉이 일대 산군을 이루며 솟아 있는데 이 산군을 알프스에 비길 만큼 아름답다는 뜻으로 영남알프스라 한다. 영남알프스 산군 중 경관이 가장 아름답다는 (1,188)은 영남 7산의 하나인 명산으로 웅장한 암봉과, 기암괴석, 울창한 수풀이 심산유곡을 이루고 있다. 거찰 운문사와 폭포로 이어지는 학심이골 계곡이 있고 남쪽에는 석골사를 중심으로 한 사운암 계곡과 호박소를 중심으로 한 쇠점골 계곡, 그리고 찌는 듯이 더운 복중에 얼음이 어는 2군데의 얼음골이 있다.  [한국의 산하 제공]

  

  

▼ 운문산 산경도

  

  

▼ 산행지도(적색: GPS Logger 족적)

 

는 수리봉 입구 석골사 주차장을 들머리로 시작하여 억산 갈림길-팔풍재 갈림길-계곡 건넘-조망 바위-범봉 갈림길-딱밭재 갈림길-정구지바위-돌탑군-상운암-상운암 갈림길-운문산 정상-운문북릉 갈림길-상운암 갈림길-조망터-소머리바위 갈림길-아쉬운 릿지-천문지골 중앙릉 갈림-비로암능선 갈림길-딱밭재-폐 움막터-딱밭재 갈림길-원점 회귀 순으로, 도상 거리 9.0Km, GPS Logger 궤적거리 13.2Km를 산행하였다.

  

  

▼ 수리봉 입구 옆 석골사 주차장

  

  

▼ 석골사를 지나간다.

  

  

▼ 석골사 북문

  

  

▼ 팔풍재(직진). 상운암(오른쪽) 갈림길

  

  

▼ 계곡을 건너 상운암으로 올라간다.

  

  

▼ 계곡 위 조망바위에서 수리봉 조망

  

  

▼ 수리봉 줌~인, 오른쪽 문바위도 조망된다.

  

  

▼ 조망바위 건너편 치마바위 조망

  

  

▼ 범봉(왼쪽). 상운암(직진) 갈림길

  

  

▼ 범봉 갈림길 앞 조망이 트이는 넓은 쉼터

  

  

▼ 딱밭재(11시). 상운암(직진) 갈림길

  

  

▼ 운문산 오름길, 바위에 낙서 같은 이정표가 보기에 흉하다.

  

  

▼ 비로암 능선 하부의 암벽

  

  

▼ 정구지 바위, 얼음굴(오른쪽). 상운암(직진) 갈림길이다.

  

일명 부추바위, 솔바위, 졸바위 라고 불리는 바위다. 옛날 마고할멈이 치마 가득히 정구지를 담아 올라가다 이 바위 위에서 잠시 쉬다가 정구지를 흘리는 바람에 지금도 바위 위에 부추가 자란다고 한다.

  

  

▼ 정구지바위를 조금 지난 위치의 넓은 공터(밀양 아-3 119 구조지점)

  

  

▼ 돌탑군, 무수한 소원이 차곡 차곡 쌓여있다.

  

  

  

  

  

▼ 상운암 오름 돌밭길

  

  

▼ 상운암 도착

  

  

▼ 처소에 산에 잔칸(잠깐) 산책하려 다녀옵니다. 라는 법성스님 메모

  

  

▼ 소박한 암자, 상운암 예전 이름은 함화암 이었다고 한다.

  

  

▼ 살아 있는 나무를 잘 활용하여 지은 원두막이 이채롭다.

  

  

상운암 마당 앞쪽 조망이 탁 트인 쉼터

  

  

▼ 억산. 범봉 조망

  

  

▼ 운문 북서 능선 위 아쉬운릿지 조망

  

  

▼ 아쉬운릿지 줌~인

  

  

▼ 상운암 입구 샘터

  

  

▼ 샘터 물맛이 좋습니다.

  

  

  

  

  

▼ 상운암을 뒤로하고 운문산 정상으로 간다.

  

  

▼ 정상 오름길 침목계단

  

  

▼ 억산(왼쪽). 이끼폭포(직진). 운문산(오른쪽) 갈림길

  

  

▼ 오솔길 같은 등로를 따라 정상으로 간다.

  

  

▼ 운문 북릉으로 내려가는 갈림길

  

  

▼ 운문산 정상(해발 1,188m) 도착

  

의 이름은 원래 위 상석에 함께 쓰인 바처럼 호거산 이라고 하였는데 이 호거산에 있던 대작갑사 라는 절을 고려 태조 왕건 때 보양 이라는 국사가 이 절을 중창 한다는 소식을 듣고 왕건이 운문선사 라는 사액을 내리면서 절 이름이 운문사로 바뀌게 되었고 이후 산 이름도 운문산이 되었다고 한다. 운문산의 정확한 고도는 1,188m가 아니라 1,195m이고 영알 전체에서는 가지산(1,241m)다음으로 두 번째 높다. 참고로 세 번째는 천황산(1,189m), 네 번째는 신불산(1,159m)이다.

  

    

▼ 눈사람아저씨 정상 인증삿

  

  

▼ 운문산에서 가지산 정상 방향 조망

  

  

▼ 천황산. 도래재. 구천산 방향 조망

  

  

▼ 운문산 정상의 외로운 철쭉나무 한 그루

  

  

▼ 운문 서릉 방향

  

  

▼ 구만산. 사자봉. 억산 방향, 맑은 날에는 대구 비슬산도 조망된다.

  

  

▼ 문바위. 사자봉. 억산 줌~인

  

  

▼ 억산 깨진 바위의 위용을 디지털 크롭

  

  

▼ 운문산 정상을 내려간다.

  

  

▼ 운문 북릉(2시). 딱밭재(직진) 갈림길

  

  

▼ 상운암(왼쪽). 이끼폭포(오른쪽) 갈림길 고개

  

  

▼ 천문지골 조망이 탁월한 조망터

  

  

▼ 소머리바위와 천문지골 조망

  

  

▼ 소머리바위. 하마바위. 독수리바위와 운문북릉 조망

  

  

▼ 하마바위. 독수리바위. 가지북릉. 가지산 조망

  

  

▼ 위 그림을 연결한 조망 파노라마(클릭)

  

  

▼ 소머리바위(오른쪽) 갈림길

  

  

▼ 천문지골 중앙릉 갈림길

  

  

▼ 아쉬릿지에 올라선다.

  

  

▼ 아쉬운릿지에서 수리봉. 사자봉. 억산 방향 조망

  

  

▼ 천문지골. 지룡산. 운문북릉 방향

  

  

▼ 복호산과 운문사 줌~인

  

  

▼ 하마바위와 운문북릉 뒤로 옹강산. 문복산. 가지북릉. 가지산 조망

  

  

▼ 운문산 주면의 조망터 아쉬운릿지 능선

  

  

▼ 운문산 정상 조망, 초록이 꽃보다 아름답다.

  

  

▼ 아쉬운릿지 암릉

  

  

▼ 전문지골과 운문북릉 뒤로 운문사 사리암이 있는 지룡산 조망

  

  

▼ 아쉬운릿지 밧줄 구간을 내려온다.

  

  

▼ 딱밭재로 내려가는 아쉬운릿지 암릉

  

  

▼ 수리봉. 북암산. 사자봉. 억산. 범봉 방향

  

  

▼ 소머리바위와 천문지골 조망

  

  

▼ 아쉬운릿지 암릉 내림길의 바위 소나무

  

  

▼ 높은 산에만 서식하는 겨우살이 채취 흔적

  

  

▼ 비로암능선(왼쪽, 폐쇄) 갈림길

  

  

▼ 딱밭재 도착, 석골사(왼쪽)로 내려간다.

  

  

▼ 비로암 능선의 암봉들

  

  

▼ 상운암 계곡 인근의 움막터

  

  

▼ 석간수와 물통. 아궁이와 온돌이 설치되어있다. 

  

  

▼ 비로암 능선의 바위들

  

  

▼ 범봉. 상운암. 석골사 갈림 삼거리

  

  

▼ 계곡을 건너 석골사로 내려간다.

  

  

▼ 석골사 경내 풍경

  

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560(신라 진흥왕 12년) 비허(備虛)가 창건했다고도 하고 773(혜공왕 9년)에 법조(法照)가 창건했다고도 한다. 비허가 작은 암자를 짓고 보양(寶壤)과 서로 왕래하며 수도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하므로, 비허가 절을 창건하고 법조는 중창한 인물로 추정된다. 태조 왕건(王建)이 고려를 건국할 때 경제적인 도움을 많이 주어, 고려 건국 후에는 암자를 9개나 거느릴 정도로 발전하였다.  한때 석굴사(石窟寺) 또는 노전사(老澱寺)라고도 불렀다. 1592(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활약하던 곳이었으며, 1753(영조 11년) 함화(含花)가 중창한 뒤 오랫동안 명맥을 이어오다가 1950년에 불에 탔고, 1980년대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건물로는 대광전과 칠성각. 산신각. 요사채 2동이 있고, 유물로는 석조아미타 삼존불과 절구. 석탑 재료 등이 전한다. 이 중 석조아미타삼존불은 대광전에 있으며, 석탑 재료는 기단과 보주 등만 발굴되었다.

   

   

▼ 석골사 마당의 주목

  

  

▼ 석골사 입구 석교

  

  

▼ 석골 폭포, 수량이 적다.

  

  

▼ 석골사 주차장으로 간다.

   

석골사 주차장에서 오늘 운문산 산행을 종료한다.

  

   


  

  

  

▼ 산행 고도표(거리별)

  

  

▼ 산행 고도표(시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