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장봉은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과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경계에 있는 산이지만 충청북도 쪽에 쌍곡계곡 등 명소가 많고 교통이 편리하여 막장봉 산행의 기점과 종점이 모두 충청북도 쪽에 있다. 제수리재 길은 쌍곡계곡과 관평을 잇는 제수리재 고갯마루에서 시작하여 산등성이를 따라 동쪽으로 나아가며 투구봉, 천지바위, 통천문, 달팽이 바위를 거쳐 막장봉 고스락에 이르는 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길을 골라잡는다. 기암괴봉과 조망을 감상하며 막장봉 고스락에 이르고 시묘살이계곡으로 하산한다. 작은 금강산이라는 불리워지는 쌍곡계곡은 괴산에서 연풍방면으로 12km정도에 위치하며 괴산팔경의 하나로 계곡의 경치가 아름답고 물이 맑아 사철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다. 쌍곡계곡을 흐르고 있는 냇물을 쌍천이라고하는데, 도수리고개에서 시작한 맑은 물이 군자산, 비학산, 보배산의 계곡사이로 구비 치며 내곡천, 외곡천의 두 줄기로 흘러 쌍계라 하였으며 이로 말미암아 골짜기 이름도 쌍곡이라 하였다. 조선시대 이름 난 학자 퇴계 이황, 송강 정철 등 수많은 학자와 문인들이 쌍계의 산수경치를 사랑하여 이곳에 머물렀다고 하는 쌍곡계곡은 호롱소, 소금강, 떡바위, 문수암, 고쌍벽, 곡용소, 쌍곡폭포, 선녀탕, 곡장암등 구곡을 이루며 푸른 숲과 기암절벽 사이사이로 맑은 계곡물이 흐르고 있어 화양동, 선유동과 함께 명승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산하 제공]
▼ 막장봉 산경도
▼ 산행 지도(적색: GPS logger 족적)
산행코스는 제수리재를 들머리로 시작하여 이빨 바위-전망 바위-투구봉-천지 바위(바위 전시장)-홈통 바위-암릉 지대-쭈꾸미 바위-댐바위-달팽이 바위-코끼리 바위-막장봉 정상-절말 갈림 고개-은선 폭포-시모살이 계곡-강선대-쌍곡 폭포-쌍곡 휴게소 순으로, 도상 거리 8.6Km, GPS Logger 족적거리 10.8Km를 산행하였다.
▼ 제수리재(해발 530m) 산행 들머리
제수리재는 517번 지방도 괴산군 칠성면과 청천면의 경계 짓는 고개로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 산행이 수월한 제수리재를 많이 이용한다.
▼ 이빨 바위
▼ 이빨바위를 지나 첫 번째 조망터에서 대야산(10시). 백악산(1시) 방향 조망
▼ 도명산(11시). 갈모산(12시) 방향 조망
▼ 진행 방향의 투구봉. 천지바위 방향 봉우리 조망
▼ 대야산(10시). 중대봉(1시) 줌~인, 중대봉 뒤 오른쪽 멀리 속리산이 희미하게 조망된다.
▼ 대야산(10시). 중대봉(2시) 싸이즈-업 크롭
▼ 전망 바위
▼ 전망 바위에서 진행 방향의 천지바위 바위군 조망
▼ 작약산(10시). 곰넘이봉(11시). 둔덕산(12시). 조항산(1시). 대야산(2시) 조망
▼ 둔덕산(10시). 대야산(1시). 중대봉(2시) 방향 조망
▼ 투구봉을 올라간다.
▼ 투구봉 상부에서 일행은 점심과 잠깐의 휴식을 한다.
▼ 투구봉에서 둔덕산(10시). 조항산(12시). 대야산(1시). 중대봉(2시) 조망
▼ 둔덕산(11시)과 그 앞 곰넘이봉 줌~인
▼ 대야산(11시). 중대봉(2시) 줌~인, 대야산 뒤 왼쪽 청화산이 조망된다.
▼ 지나온 능선과 멀리 도명산(11시). 갈모산(12시) 방향 조망
▼ 작은군자산(10시). 군자산(12시). 그 사이 비학산(11시). 보배산(2시) 조망
▼ 군자산(10시). 보배산(12시). 칠보산(2시) 조망
▼ 보배산(10시). 칠보산(11시). 시루봉(2시) 조망
▼ 투구봉 건너편 천지바위 남동쪽 사면의 암봉 조망
▼ 투구봉 아래에 위치한 바위
▼ 투구봉을 지나가면서 뒤돌아 본다.
▼ 투구봉 줌~인
▼ 막장봉(1시)과 천지바위(2시)와 바위 전시장
▼ 천지바위와 바위 전시장 봉우리 줌~인
▼ 지나온 봉우리를 뒤돌아 본다.
▼ 천지바위 암군을 올라간다.
▼ 천지바위, 분화구 바위 또는 의자 바위 라고도 한다.
▼ 바위 전시장 암능과 철재 난간
▼ 천지바위와 바위송을 뒤돌아 본다. 멀리 군자산이 멋진 배경이 된다.
▼ 진행방향 암릉 지대와 막장봉 정상
▼ 암릉 지대와 막장봉 줌~인
▼ 천지바위 옆 애기공룡 둘리바위를 뒤돌아 본다.
▼ 멀리 군자산. 지나온 봉우리와 바위 전시장을 뒤돌아 본다.
▼ 홈통바위 아래 멋진 조망 바위
▼ 칠보산(11시). 시루봉(2시) 조망
▼ 시루봉(11시). 악휘봉(1시) 조망
▼ 시루봉(10시). 대슬립(1시). 악휘봉(1시). 마분봉(2시) 조망
▼ 암릉지대에 등산객 추락사고 발생, 119 헬기가 구조 중이다.
▼ 119 구조대원이 부상자를 구조하는 중...
▼ 암름지대, 조금전에 등산객 추락사고가 발생한 위험구간이다.
▼ 암릉지대 바위 소나무
▼ 지나온 천지바위 바위전시장 암릉과 그 앞 홈통바위
▼ 천지바위 바위전시장 암릉 줌~인
▼ 홈통바위 줌~인
▼ 암릉지대에서 댐바위와 통천문이있는 달팽이바위 조망
▼ 댐바위와 달팽이바위 줌~인
▼ 댐바위 도착, 댐바위는 치마 바위라고도 한다.
▼ 지나온 암릉지대 봉우리와 그 아래 쭈구리 바위를 뒤돌아온다
▼ 통천문 입구에 있는 달팽이바위
▼ 달팽이 바위 하부 통천문
▼ 통천문을 통과해서 뒤돌아 본다.
▼ 코끼리 바위
▼ 코끼리바위 옆 모습, 꼬끼리 코와 눈이 선명하다.
▼ 막장봉으로 오르면서 지나온 능선을 뒤돌아 본다.
▼ 멀리 군자산(12시)과 칠보산(2시). 시묘살이계곡 조망
▼ 보배산과 칠보산(11시). 시루봉(1시)조망
▼ 끝선(1시)에 왼쪽부터 신선봉. 마패봉. 깃대봉. 신선암봉. 조령산 조망
▼ 막장봉 정상(해발 868m) 도착
▼ 눈사람아저씨 막장봉 정상 인증삿
▼ 막장봉 정상 이정표(제수리재 3.6Km, 장성봉 1.2Km)
▼ 절말 갈림 고개로 걸으며 희양산 조망
▼ 거대한 화강암 바위산~ 희양산 줌~인
▼ 장성봉(2시) 조망
▼ 고개 내림 길에서 시루봉(11시). 대슬립. 악휘봉. 마분봉(1시) 조망
▼ 대슬립. 악휘봉. 마분봉(1시) 줌~인
▼ 장성봉(직진). 절말(왼쪽) 갈림길 고개
▼ 절말 방향 시묘살이계곡으로 내려간다. 시원한 원시림 계곡 느낌이다.
▼ 은선 폭포 통과
▼ 은선폭포 옆 식탁으로 사용하기에 딱 좋은 바위
▼ 생큼한 바람이 솔~솔~ 부는 시묘살이계곡 내림길
▼ 강선대 통과
▼ 쌍곡 탐방지원센타
▼ 쌍곡구곡 중 제7곡 쌍곡폭포
쌍곡폭포: 절말에서 동북쪽으로 나 있는 살구나무골 계곡을 따라 700m 간 지점에 이르면 반석을 타고 흘러내리는 폭포를 마주하게 되는데 이 폭포는 쌍곡 전체의 계곡이 남성적인데 반해서 그 자태가 조용하고 수줍은 촌색시의 모습처럼 여성적인 향취가 물씬 풍기는 폭포이다. 좀처럼 그 모습을 드러내 보이려 하지 않는 듯하며 8m정도의 반석을 타고 흘러 내린 물이 여인의 치마폭처럼 펼쳐진 661㎡(200여평)의 넓은 물이 간장을 서늘케 할 정도로 시원함을 주는 곳이다.
▼ 쌍곡 폭포를 살짝 당겨본다.
▼ 휴게소 인근 행목 동천
▼ 쌍곡 휴게소 도착, 오늘의 산행을 종료한다.
▼ 산행 고도표(거리별)
▼ 산행 고도표(시간별)
'산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미 새와 애기 새가 있는 청풍호반 위의 둥지봉 (0) | 2015.09.30 |
---|---|
청풍호반의 절경 조망이 빼어난 제비봉 (0) | 2015.08.23 |
청풍호반의 절경 구담봉과 옥순봉 (0) | 2015.06.03 |
언제나 변함없이 반겨주는 영남알프스의 맏형 가지산 (0) | 2015.03.23 |
구미 금오산 2014년 첫 눈산행 (0) | 201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