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사진

경주 남산 칠불암-용장사지(09.12.27)

눈사람아저씨 2009. 12. 28. 23:00

   

 

는 용장리를 들머리로 시작하여 291봉-386봉-이무기능선-고위산-백운재-봉화대-칠불암-봉화대능선-이영재-삼화령-용장골 갈림-용장사지 삼층석탑-용장사곡 석불좌상-용장사지-설잠교-절골-샘터-용장골입구-용장리 원점 회귀 순으로, 도상거리 9.8Km, GPS Logger 퀘적거리 11.5Km를 산행하였다.

   

  

▼ 산행 지도(적색: GPS 퀘적)

   

    

▼ 산행 퀘적(구글어스)

   

  

 291봉을 오르며 들머리 용장리 방향 조망

   

    

▼ 천우사 줌인

   

    

▼ 멀리 삼화령을 배경으로...  

   

    

 용장골 위 삼화령 방향 조망

   

    

 쌍봉 조망, 우측 봉우리를 태봉이고 한다.

    

  

 우리편 선두 조들이 밧줄을 타고 386봉을 오르고 있다.

   

    

 이무기 능선은 멋진 암봉과 밧줄의 연속이다.

   

   

   

   

    

 멀리 삼화령 방향을 조망한다.

   

    

 이무기능선의 멋진 바위들

   

    

   

   

    

 이무기능선을 올라가면서 건너 쌍봉 중 태봉 정상을 줌인해 본다.

   

    

 저정도의 위용이면 바위 이름이 있음직도 한데?

    

  

 386봉 만디에서 신선 놀이하는 산우

   

  

 능선의 멋진 바위와 밧줄 구간

   

    

   

   

    

   

   

    

   

   

    

   

   

    

 386봉의 후미 조들...

   

    

 쌍봉 조망 

   

    

 진행해야 할 이무기능선을 바라본다.

   

    

 연속되는 밧줄 구간들

   

     

   

   

    

 뒤따라오는 산우들을 바라본다.

   

    

 또 능선의 밧줄구간과 멋진 바위들

   

    

  

   

    

   

   

    

   

   

    

   

   

    

 아기 소나무가 터를 잘못 잡았다.

   

    

 고위산 정상 도착

   

    

 정 상 석

   

    

 정상 증명사진

   

    

   

   

    

 고위능선을 걸으며 청룡사지 조망

   

    

 절터에 삼층석탑이 외롭게 홀로 서있다.

   

    

▼고위능선의 바위들 

   

    

   

   

    

   

   

    

 고위능선에서 바라본 백운암? 아니면 말고...

   

    

 산정호수로 내려가는 갈림재

   

    

 백 운 재

   

    

 봉화대 도착, 봉화대는 흔적도 없다.

   

    

 절벽 밑 칠불암 조망

   

    

  칠불암 줌인

   

    

  칠불암 정상

   

    

 칠불암으로 내려가는 등산로의 바위들

   

    

   

   

    

 칠불암 도착

   

    

 암자 앞 소나무 삼형제가 멋스럽다.

   

    

 칠불암 마애석불의 사방불

   

    

 칠불암 마애석불의 삼존불과 그 앞의 사방불(국보 제312호)

   

    

 칠불암은 삼존불의 3위와 사면불의 4위를 합하여 칠불이있는 암자라 하여 칠불암이다.

   

    

 마애석불 위 신선암 마애보살 반가상(보물 제199호)가 있는 바위

   

    

 칠불암에서 증명사진을...

 

    

   

   

    

 바람재로 가는 능선 조망

   

    

 칠불암을 관람하고 다시 칠불암 정상으로 올라온다.

   

    

   

   

    

   

   

    

 금오산 방향 오늘 진행하여야 할 능선 조망

   

    

봉화대능선의 바위

   

    

 건너편 능선 줌인

   

    

 고위산(끝선) 이무기능선(우) 쌍봉(중앙)과 용장골 조망

   

    

 삼화령 연화좌대

   

    

 임도 용장골 갈림길

   

    

 건너편 삼화령 위 바위

   

    

 건너편 삼화령 위 연화좌대, 부처상은 간데없고 생불이 앉아있다.

   

    

 용장사지로 내려가는 등산로의 바위들

   

    

   

   

    

   

   

    

 용장사지 3층석탑(보물 제186호)

   

    

 건너편 능선의 바위 줌인

   

    

   

   

    

 삼륜대 석불좌상(보물 제187호), 남산에는 목이 잘린 부처상이 많다.

   

    

 용장사지 능선의 바위들

   

    

   

   

    

   

   

    

   

   

    

   

   

    

 용장사지 능선 건너편 바위들

   

    

 용장사지 3층석탑이 하늘에 맞닿은 듯이 높게 보여 자연과의 조화미가 돋보인다.

   

    

 설잠교, '금오신화'를 저술한 매월당 김시습의 법호인 설잠을 따서 이름 지었다.

   

    

 절골 계곡, 가뭄으로 바닥이 바짝 말랐다.

   

    

   

   

    

 절골과 절잠교

   

    

 절골 위 바위

   

    

   

   

    

 절골 계곡

   

    

 용장골 입구 이정표

   

   

   

   

   

    

 산행 고도표(거리별)

   

    

 산행 고도표(시간별)